WINDAREA
반응형
베어링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단열 깊은홈 베어링에 대해서 알아보자.
설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면서도 가장 많이 번호가 뭔지 제대로 모르는 사람이 많은 항목이기도 하다.
아래는 6003 베어링에 대한 설명을 풀어서 이해하기 쉽도록 만든 표다.
6 | 0 | 0 | 3 |
형식 번호 | 치수 계열 | 안쪽 지름 번호(세번째 네번째 숫자) | |
1 : 자동 조심 볼 베어링 2 : 스러스트 자동 조심 롤러 베어링 3 : 테이퍼롤러 베어링 5 : 평면자리 스러스트 볼 베어링 6 : 단열 깊은 홈 볼 베어링 7 : 단열 앵귤러 볼 베어링 N : 단열 원통 롤러 베어링 NA : 니들 롤러 베어링 |
0, 1 : 특별 경하중형 2 : 경하중형 3 : 중간 하중형 4 : 중 하중형 |
* 아래 표 참조 |
- 안지름 치수표
안지름 번호 |
안지름 치수 (mm) |
안지름 번호 |
안지름 치수 (mm) |
안지름 번호 |
안지름 치수 (mm) |
안지름 번호 |
안지름 치수 (mm) |
1 | 1 | 6 | 30 | 22 | 110 | 72 | 360 |
2 | 2 | /32 | 32 | 24 | 120 | 76 | 380 |
3 | 3 | 07 | 35 | 26 | 130 | 80 | 400 |
4 | 4 | 08 | 40 | 28 | 140 | 84 | 420 |
5 | 5 | 09 | 45 | 30 | 150 | 88 | 440 |
6 | 9 | 10 | 50 | 32 | 160 | 92 | 460 |
7 | 7 | 11 | 55 | 34 | 170 | 96 | 480 |
8 | 8 | 12 | 60 | 36 | 180 | /500 | 500 |
9 | 9 | 13 | 65 | 38 | 190 | /530 | 530 |
00 | 10 | 14 | 70 | 40 | 200 | /560 | 560 |
01 | 12 | 15 | 75 | 44 | 220 | /600 | 600 |
02 | 15 | 16 | 80 | 48 | 240 | /630 | 630 |
03 | 17 | 17 | 85 | 52 | 260 | /670 | 670 |
04 | 20 | 18 | 90 | 56 | 280 | /710 | 710 |
/22 | 22 | 19 | 95 | 60 | 300 | /750 | 750 |
05 | 25 | 20 | 100 | 64 | 320 | /800 | 800 |
/28 | 28 | 21 | 105 | 68 | 340 | /850 | 850 |
아래 내용만 외우면 머리 아픈 도표를 굳이 안봐도 사용된 베어링 크기를 알 수 있다.
회사 주소 외우는 것보다 간단하니 꼭 외우도록하자.
베어링 안지름 번호 설명 |
1 ~ 9까지는 그 숫자가 베어링의 안지름이다. |
00은 10, 01은 12, 02는 15, 03은 17이다. |
04부터는 5를 곱하여 나온 숫자가 안지름이다. |
/숫자의 베어링은 숫자가 안지름이다. |
TEST
6008C2P6 | 60 - 베어링 계열 번호 (단열 깊은 홈 베어링) 08 - 안지름 번호 (40mm) C2 - 틈새 기호 (C2 틈새) P6 - 등급기호 (6급) |
6012ZNR | 60 - 베어링 계열 번호 (단열 깊은 홈 베어링) 12 - 안지름 번호 (60mm) Z - 실드 기호 (편측) NR - 궤도륜 형식 번호 |
6002ZZ | 60 - 베어링 계열 번호 (단열 깊은 홈 베어링) 02 - 안지름 번호 (15mm) ZZ - 실드기호 (양쪽) |
NA4916V | NA49 - 베어링 계열 번호 (니들 롤러 베어링, 치수계열 49) 16 – 안지름 번호 (80mm) V – 리테이너 기호 (리테이너 없음) * 뜬금 없지만 가끔 이런 문제가 나올 때가 있다. |
베어링 번호 뒤에 붙는 번호 중 무기호, Z, ZZ가 있는데 이것은 간단하게 베어링이 겉에서 봤을 때 볼이 보이냐 안보이냐를 구분하는 기호다. ZZ가 붙은 베어링은 베어링 실드가 양쪽에 있는 것을 뜻하고, Z가 하나만 있는 것은 한쪽만 있는 것이다.
베어링 기호 뒤에 아무 것도 없을 경우에는 볼이 노출되는 경우인데 소경 베어링이나, 먼지가 날리는 곳에서는 실드가 있는 베어링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베어링 안지름이 큰 경우나, 볼에 구리스나 기름을 자주 공급해 줘야 하는 곳에서는 실드가 없는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6003ZZ
6003
반응형
'설계 > 기계 요소 규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각 렌치 볼트 규격 (0) | 2023.09.25 |
---|---|
볼트 - 모양에 따른 분류 (0) | 2023.09.18 |
볼트 재질 (0) | 2023.09.15 |
볼트, 너트, 와셔 소개 (0) | 2023.09.14 |
STS SUS 규격 - 두께 (0) | 2022.11.30 |
환봉 규격 - 두께에 따른 무게 (0) | 2022.08.10 |
알루미늄 판재 규격 (0) | 2020.03.30 |
파이프 - 배관용 탄소 강관 - KS (0) | 2019.10.16 |